본문 바로가기

(영화탐구)INTO THE WILD 다큐영화, 혹은 뭔가 인생에 대한 철학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진지한 영화를 좋아해서 인터넷으로 관련 검색어를 찾아보니, "INTO THE WORLD"라는 영화가 떳다. 진실을 알기위해 자연으로 들어가서2년이 넘는 시간을 산 한 젊은이에 대한 내용으로 실화란다.처음에 자연으로 들어가 살았던 사람이라길래 윌든을 쓴 소로를 생각했었는데, 소로가 아닌 다른 사람에 대한 이야기 였다. 현대판 소로인가? 가족에 대한 아픔을 가진 주인공 크리스토퍼는 대학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후, 그의 전재산을 모두 빈민구호단체에 기부하고 가족과는 연락을 끊은 채 여행을 떠난다. 집시 커플, 히피족, 가죽세공인 등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 정신적 교감을 나누고 다양한 것을 배운다. 그리고 말미에는 알래스카를 향해 여정에 오르는 내용.. 더보기
명함만들기(1) 사회복지사로 일을 한지 이제 1년하고도 반,하지만 아직 개인명함을 만들지 못했다.예전부터 명함관련해서 많은 생각을 했지만 남들처럼 평범한 명함을 만들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고, 뭔가 정말 나와 만나는 사람에게 단순한 나의 소개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정보와 내가 명함을 통해 알리고 싶은 부분을 말하고 싶다는 욕심이 있어 하루 이틀 미루다 보니 일년 반이라는 시간이 지나가 버렸다. 어쩌다 이렇게 시간이 지나가버렸을까? 속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문제에 대한 답은 간단하다. 현재 내가 하는일에 대해 나 스스로가 잘 정리가 되지 않았다는 것, 초기에 "사람들의 행복"을 목표로 사회복지현장에 뛰어든 나는 시간이 지날 수록, 내가 하는 일이, 서비스가 받는 사람으로 하여금 진심 행복을 주는가에.. 더보기
나눔에 대해서... 말레이시아 중부 지역의 세마이 부족은 남에게 도움을 받아도, 절대 "고맙다."고 말하지 않는다. "고맙다"는 말에는 어느만큼 주고받았는지를 계산했다는 뜻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고기를 잡은 사냥꾼이 빈손으로 돌아온 다른 사냥꾼에게 고기를 나눠주었을 때, 감사를 표하는 것은 자기가 받은 양을 계산했다는 뜻이고, 그것은 고기를 준 사냥꾼이 그토록 인정 많을 줄 몰랐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세마이부족사회에서는 "자선"의 개념이 없다. 그들에게 많이 가진 자가 적게 가진 자에게 나눠주는 것은 자선이 아니라 상생의 시스템이다. 갚아야 할 빚을 만들지 않음으로써 언제나 서로를 도울 수 있도록 하는 엄정한 규율에 가깝다." -되살린 미래(생각정원,아름다운가게/이승은 저) P.182- '자선'이란, 좋은 .. 더보기